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사고 났어요. 어떻게 해야 하죠?"

    운전 초보에게 가장 두려운 상황, 바로 교통사고입니다.
    작은 접촉에도 머릿속이 새하얘지고,
    누가 먼저 전화를 해야 하는지조차 헷갈리게 되죠. 보험사에 전화하긴 했지만,

    그 전에 해야 할 행동이 있다는 걸 아시나요?

    사고 순간,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기록'입니다

     

    초보운전자 사고 대처법
    초보운전자 사고 대처법

    사고가 나면 대부분 보험사부터 떠올리지만,

    그보다 먼저 해야 할 건 **현장 정리와 정보 확보**입니다.

     

    특히 초보 운전자일수록 '어떡하지?'만 반복하다가 아무 기록 없이 보험사 통화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고 직후 몇 분의 행동이

    이후 과실 비율, 보험 처리, 심지어 경찰 신고까지 결정짓습니다.

     

    지금부터 초보 운전자도 기억하기 쉬운,

    3단계 실전 대응법을 알려드릴게요.

     

     

    🚨 초보 운전자 사고 시 꼭 해야 할 3단계

     

    1. 차량과 사람부터 안전 확보
    사고가 난 위치에서 2차 사고 위험이 있다면,

    비상등을 켜고 차량을 갓길이나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킵니다.

    차량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삼각대 또는 비상표지를 뒤쪽 100m 지점에 설치합니다.

     

    2. 사진 촬영 및 상대 차량 정보 기록
    사고 차량의 위치, 파손 부위, 상대 차량 번호판, 블랙박스 위치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으로 남기세요.

    이때 절대 차량을 먼저 치우지 마세요 - 현장 모습이 곧 증거입니다.

    상대 운전자의 이름, 전화번호, 차량번호, 보험사 정보도 메모해두세요.

     

    3. 보험사 신고 및 경찰 신고 여부 판단
    대인사고(사람이 다친 경우), 음주 의심, 도주 차량, 물피도주 등은 반드시 경찰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보험사 콜센터에 전화 후 안내에 따라 처리하시면 됩니다.

     

    📌 신고 관련 간단 정리

     

    • 대인 사고: 경찰 신고 필수 (사람이 다쳤다면 무조건)
    • 대물 사고: 경미한 접촉은 보험사만 처리해도 무방
    • 음주. 도주. 횡단보도 사고: 반드시 경찰 신고

     

    😣 사고 직후 이런 행동은 피하세요

     

    • "죄송해요" 먼저 말하지 않기 - 과실을 인정하는 듯한 뉘앙스
    •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기 - 상대가 영상 녹음 중일 수도 있음
    • 차량을 무작정 이동시키지 않기 - 블랙박스 영상도 날아갈 수 있음

     

    🚗 마무리 | 침착한 3분이 사고를 바꿉니다

     

    초보 운전자라면 사고 자체가 무서울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당황하지 않고, 안전 확보 - 기록 - 보험. 경찰 신고 이 3단계만 기억하면 대부분의 상황은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요.

     

    사고는 막을 수 없어도, 대응은 준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저장해두고, 사고가 났을 때 딱 1번만이라도 떠올려보세요.

    당신의 첫 사고 경험을 좋은 방향으로 바꿔줄 수 있을 거예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