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오늘 한국계로는 처음 우주로 나간 미국 항곡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조니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을 했고 8개월간의 임무 수행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우주정거장에 도킹을 하고 다른 우주비행사들과의 만남을 보면서 최근 방영한 공효진과 이민우가 나온 별들에게 물어봐가 생각나면서 이 드라마가 실제 우주정거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찍은 드라마라는 사실을 실감했습니다.

     

    더불어 드라마나 영화에서나 보던 일을 하는 조니김이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드라마처럼 의사나 과학자 출신들이 우주로 가서 어떤 연구나 미션을 실행해야 하는지와 우주정거장의 동료들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니김이란 인물과 우주정거장에서의 역할과 함께 생활하는 동료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조니김 프로필과 경력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프로필

    구분 내용
    이름 조니 김 (Johnny Kim)
    한글이름 김종우 (Kim Jong-woo)
    출생년도 1984년
    출생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부모님 한국 이민자
    국적 미국
    직업 NASA 우주비행사, 의사, 전직 네이비씰
    현 소속 NASA 존슨 우주센터

     

    네이비 씰 (U.S Navy SEALs) 경력

    조니 김은 고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미 해군에 입대하여 Navy SEAL이 됩니다.

    주요 경력 사항

    • SEAL Team 3 소속으로 이라크 등에서 복무
    • 약 100건 이상의 전투 임무 수행
    • 저격수, 의무병(Combat Medic), 정찰병 역할 수행

    네이비씰씰은 미국 군대 내에서도 가장 혹독한 훈련을 받는 특수부대로, 합격률이 매우 낮습니다. 정신력과 체력, 전술 능력을 모두 갖춰 한다고 합니다.

    의대 진학과 의사 면허

    군 복무를 마친 후, 조니 김은 **하버드 의대(Harvard Medical School)**에 진학해 의학박사(M.D.) 학위를 받습니다.

    • 전공: 응급의학
    • 인턴십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및 브리검 여성병원에서 수행
    • 교육과정 중 NASA에 지원하여 최종 선발됨

    하버드 의대는 세계 최상위권 의대로, 조니 김은 군경력과 학문적 능력을 모두 인정받아 입학한 사례라 고합니다.

    NASA 우주비행사 경력

    NASA 선정

    • 2017년 NASA 우주비행사 후보로 선발 (총 18,300명 지원 중 12명만 선발)
    • 2년간의 혹독한 훈련을 거쳐 공식 우주비행사 자격 획득
    • 과학, 기술, 항공기 조종, 생존 훈련 등 수료

    향후 계획

    •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젝트 유력 후보 중 하나로, 인류의 달 재탐사를 위한 핵심 임무에 참여할 가능성 있음
    • NASA 우주비행사는 물리, 공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과 체력, 정신력을 요구합니다. 조니 김은 거의 모든 기준에서 정점을 찍은 인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주정거장에서의 조니김의 역할과 임무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조니 김(Jonny Kim) 우주비행사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CIPHER(Complement of Integrated Protocols for Human Exploration Research)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장기간 우주 비행이 인간의 신체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화성 탐사와 같은 장기 우주 임무를 준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CIPHER 연구의 주요 구성 요소

    1. 연구 범위 및 기간

    • 14개의 개별 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기(약 3.5개월 미만), 중기(약 3.5~8개월), 장기(8개월 이상) 임무에 걸쳐 수행됩니다.​ 
    • 최대 30명의 우주비행사가 참여하여 각 연구에 기여합니다. ​

    2. 연구 분야

    • 근골격계 변화: 우주 환경에서의 뼈와 근육 손실 속도와 그 영향을 분석합니다.
    • 심혈관 건강: 뼈에서 손실된 칼슘이 동맥에 축적되어 혈관 질환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조사합니다. 
    • 시각 변화: 장기 우주 비행이 시력과 안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 심리적 변화: 우주 비행 중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심리적 변화를 모니터링합니다. ​

    3. 실험 예시

    • 등척성 중간 허벅지 당김(Isometric Mid-Thigh Pull, IMTP): 근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로, 우주비행사들이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근력 저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 xEMU 우주복 테스트: 차세대 행성 탐사용 우주복의 성능을 평가하여, 우주비행사들이 다른 행성 표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 능력을 측정합니다. ​

    이러한 연구들은 우주 환경이 인간의 신체와 심리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장기 우주 탐사 임무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기여합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의 동료들과 그들의 역할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조니 김과 함께 현재 국제우주정거장에는 다양한 국적과 전문성을 가진 승무원들이 함께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돈 페팃(Don Pettit): NASA 소속의 베테랑 우주비행사로, 과학 실험과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앤 맥클레인(Anne McClain): NASA 소속으로, 우주에서의 장기 체류 경험이 있으며,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 니콜 에이어스(Nichole Ayers): 최근에 합류한 NASA 우주비행사로, 주로 생명과학 실험과 우주정거장의 유지보수 작업을 담당합니다.​
    • 오니시 타쿠야(Takuya Onishi):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소속으로, 일본의 과학 실험 모듈인 '키보'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합니다.​
    • 알렉세이 오브치닌(Alexey Ovchinin): 러시아 우주비행사로, 우주정거장의 시스템 유지보수와 러시아 모듈에서의 실험을 담당합니다.​
    • 이반 바그너(Ivan Vagner): 러시아 소속으로, 지구 관측과 관련된 임무를 수행하며, 우주정거장의 일상 운영을 지원합니다.​ 키릴 페스코프(Kirill Peskov): 러시아 우주비행사로, 최근에 합류하여 다양한 실험과 유지보수 작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국적 승무원들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하여 국제우주정거장의 원활한 운영과 다양한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조니김이란 인물도 국제우주정거장도 현실 세계의 일이지만 알고 나니 더 드라마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국적의 승무원들이 저마다의 전문 분야의 일을 어려운 환경에서 해내고 또 그들의 업무의 도전과 업적이 우리에게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조니김도 끊임없이 배우고 도전하고 성장하는 인물로 많은 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거라고 확신합니다. 부디 건강히 임무 수행하시고 안전하게 무사 귀국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한국계우주비행사조니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