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건강 실천하면 지원금을 준다고요?"
처음엔 반신반의했던 분들이 실제로 포인트를 받고, 지역화폐로 전환해서 썼다는 후기를 보면 진짜 관심이 생기죠.
그런데 막상 참여하려고 하면 "예방형이 뭐고, 관리형은 또 뭐야?"이렇게 헷갈리기 시작해요.
실제로 같은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인데도 대상자, 실천 내용, 신청 방식, 시행 지역까지 전부 다릅니다.
그래서 오늘은 예방형 vs 관리형 도대체 뭐가 다른지, 어떤 유형에 해당되는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예방형 vs 관리형 한눈에 구분
구분 | 예방형 | 관리형 |
---|---|---|
시행 범위 | 15개 지자체 시범 운영 | 전국 |
참여 조건 | 건강검진 결과 - BMI≥25 - 혈압/혈당 주의 이상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중 (케어플랜 수립된 고혈압/당뇨 환자) |
신청 기한 | 검진일 기준 6개월 이내 | 케어플랜 수립일 기준 12개월 이내 |
실천 내용 | 걷기, 자가 측정, 건강 교육 등 | 혈압. 혈당 자가측정, 복약관리, 운동. 식이 교육 등 |
연령 요건 | 만 20세 이상 (건강검진 대상 기준) |
연령 제한 없음 |
신청 방법 | 공단 홈페이지 / The건강보험 앱 / 지사 방문 | 의원 등록 / 앱 / 팩스 / 지사 방문 |
이 표만 봐도 "나는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바로 알 수 있을 거예요.
예방형은 이런 분에게 추천
- 건강검진에서 BMI 25 이상 나왔던 분
- 혈압, 혈당 수치가 주의 단계 이상이었던 분
- 걷기 습관을 만들고 싶었던 분
- 현재 질병은 없지만, 건강이 걱정되는 분
관리형은 이런 분에게 추천
- 고혈압 또는 당뇨 진단을 받은 분
- 정기적으로 복약/식이/운동 지도가 필요한 분
-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받고 싶은 만성질환자
- 의원에 등록되어 관리 받고 있는 분
마무리하며 - 내가 어떤 유형인지, 딱 알겠죠?
사실 건강 관련 제도는 "어려운 말은 많고, 나는 대상자인지 아닌지도 모르겠고" 그렇게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오늘 정리한 예방형 vs 관리형 구분만 기억해두면 당장 나에게 해당되는지, 어디서 신청해야 할지 딱 알 수 있을 거예요.
다음 글에서는 예방형/관리형 신청 시 제출서류와 65세 이상 팩스 신청 방법까지 실제 신청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만 모아서 정리해드릴게요.
지금 확인해두면, 내가 지원 대상일 때 놓치지 않을 수 있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